본문 바로가기
사진여행/국내여행

통도사 - 홍매화

by Himan 2025. 3. 8.

봄을 알리는 꽃들중 대표할 수 있는것이 몇 종류가 있는데 가장 먼저 개화하는것이 설중에 꽃을 피워내는 복수초가 있을 듯 한데 거의 야생에서만 만나볼 수는 있으나 쉽지 않다, 그 다음이 ‘매화’라 할 수 있는데 여기저기 야생, 농원등지애 볼 수는 있으나 그래도 상당한 자태를 지닌 사찰내에서 피워내는 통도사의 홍매화를 보기로 한다.

해마다 3월초 이 무렵에는 홍매화의 개화소식을 들어왔던터라 요란스럽지 않을 사찰의 고즈넉함이 매화의 향을 더 더욱 배가시켜 줄 수 있을법하여 통도사로 향한다

들어가기 전 입구의 식당에서 먼저 이쪽 지역의 별미인 ‘밀면 맛 보기’

구운 고기와 더불어 먹어보니 괜찮은 맛이다. 이렇게 배를 불려놓아야 통도사 경내를 돌아볼것 아닌가?

통도사 경내까지 차량을 가지고 들어갈 수 있다, 승용차기준 주차료4천원, 그렇지만 솔숲길이 괜찮다라는 얘기를 들은바 있어 경내 입구에 주차를 하니 주차료 무료


사시사철 걸어도 좋을법한 솔숲길이다. 바로 옆에는 물이
흐르고 있어 운치또한 으뜸, 이름하여 ‘무풍한송로’ 2018년 아름다운숲 전국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을만큼의 명품숲길이다


숲길이 끝나는 통도사 입구의 바위현판에 적혀있는 ‘영축산총림대도장, 여기서 총림은 많은 승려와 속인들이 화합하여 함께 배우기 위해 모인 것을 나무가 우거진 수풀에 비유한 것으로, 스님들의 참선수행 전문도량인 선원과 경전 교육기관인 강원, 계율 전문교육기관인 율원을 모두 갖춘 사찰이라 칭한단다.
우리나라 7대 총림은 통도사, 해인사, 송광사,수덕사, 동화사, 범어사, 쌍계사가 있다고


바위현파을 지나 나타나는 해탈문, 이 현판의 글씨 ‘영축총림’ 월하스님의 친필이란다.


통도사는 해발 1081m의 역축산 남쪽에 자리잡은 사찰로  신라 선덕여왕15년(646년)에 창건된 천년이 훨씬 넘은 고찰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사찰이란다. 불교에서 중요시하는 삼보(불보, 법보, 승보)중 통도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다해서 불보사찰, 해인사는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다하니 법보사찰, 송광사는 명승들이 많다하여 승보사찰로 불리운다고


통도사 경내에 들어서 보니 조용하기는 하지만 이미 많은  사람들이 매화 주위에 몰려 있다.
꽃을 다 피워내지 않았음에도 매향이 코끝을 자극한다. 이미 이 향 만으로도 충분한 오늘의 여기 통도사 방문의 효과를 누렸다 해도 될 만큼의 향기이다.


꽃은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해서 만개까지는 일주일여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할듯 하다


통도사 방문이 처음인지라 여기저기 경내를 돌아다니며 이곳저곳을 돌아다녀본다. 늘 느끼는것이지만 역사의 현장 - 이곳도 오래된 사찰 - 을 방문할때에는 사전에 공부를 좀 하고 와야한다는 사실. 이곳 저곳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각개의 건물, 그리고 방문했던 통도사내의 박물관에서조차도 사전 지식이 없어 무엇을 의미하고 배경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내용없이 보이는 액면 그대로의 것들만 바라봐야만 했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부처님의 진신사리는 금강계단에 모셔져 있어 그 대웅전에는 불상이 없다는것과 각 건물들의 화재를 예방한다는 의미인 소금단지가 있다하는데 그것들도 제대로 보지 못했다


통도사 창건당시 아홉마리의 용이 살았다는 ‘구룡지’ 그리고 거길 건너는 다리인 ’강교‘  저길 건너면 차안에서 피안으로의 건너가고 싶은 불자들의 염원을 담아낸 것이라고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다는 '금강계단'

그 덕에 5대 적멸보궁 - 부처님 몸체에서 나온 불사리를 모신 곳 - (이곳 통도사, 강원도 평창에 있는 오대산 상원사, 강원도 설악산에 있는 봉정암, 강원도 영월에 있는 사자산 법흥사, 강원도 정선에 있는 태백산 정암사)에 해당한단다.


블교의 여러 문화재를 감상할 수 있는 ‘성보박물관, 잘은 모르지만 괘불탱화를 비롯 여러 문화재들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곳이다


특히 충남 예산의 대련사 괘불탱화가 특별전시되고 있어 볼 만하다.

'사진여행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천 - 작약꽃 그리고 보라색 유채꽃  (0) 2025.05.19
경상남도 고성  (0) 2025.05.19
황매산 억새  (11) 2024.10.12
대구 하중도 댑싸리  (4) 2024.10.07
고택과 배롱나무  (0) 2024.08.07